728x90

1.  강의 복습 내용

  • 1주차는 전반적으로 AI에 사용되는 Python에 대한 기본적인 라이브러리와 사용법을 배우면서 동시에 AI에 기초되는 수학과 이론 그리고 모델을 배웠다.
  • 특히 경사하강법 처럼 학슴 Processing 자체를 이론적으로 이해만 하고 생각을 구현해보니 아는 것과 구현하는 것은 매우 다른 것을 느꼈다.
  • 추후엔 라이브러리에 의존하지 않는 AI Engineer가 되기 위해선 이론을 바탕으로 구현까지 해낼 수 있는 역량까지 생각하는 것이 좋아보인다.
  • 확률론과 통계론 같은경우는 다시봐도 이해는되지만 수식의 유도가 쉽사리 진행되지 않는다. 특히 베이즈정리는 안다고 생각했지만 피어세션 때 남의 질문에 대답을 못하는 것을 보아선 좋은 공부방법은 아니라고 판단이 선다.

2. 과제 수행 과정 / 결과물 정리

  • 정규식을 공부한다 하고 미루다 미루다 여기까지오게 된 것 같다.
  • 정규식 공부를 하고, Big(O)기법을 좀 염두하면서 코딩을 하는 것이 좋아보인다.
  • 코드 자체는 공개가 불가능하여 사용한 메소드만 간략히 소개하는 것이 좋아보인다.

3. 피어세션 정리

  • 나만 느끼는건진 모르겠지만, 첫주차임에도 불구하고 팀원들과 매우 잘맞는다고 생각했다.
  • 세상엔 날고긴다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생각은 했지만, 이렇게 엄청난 사람들이 있을줄 몰랐다. 매우 겸손하고 초심자 마인드로 다가가서 배울점을 많이 배워야겠다.
  • 이 직무를 하며 소통은 매우 중요하다고 느끼면서 평소 이기적인 면모와 말주변이 없지만 열심히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있었다.

4. 학습회고

  • 나름 많이 안다고 생각했지만 공부할 때 스스로 묻는 질문 자체가 잘못된 듯 싶다.
  • 전반적으로 계획성없이 참여하여 체계적인 공부를 하지 못하여 이번 공부 또한 뒤죽박죽 개념이 섞여있다. 바로바로 메모와 정리 그리고 하루를 마무리하는 회고록을 작성하고 기술블로그를 시작하여 내 개념을 다시 의심하지 않는 쪽으로 공부방향을 잡아야할 것같다.
  •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원론적인 생각의 파생으로 도움이 되겠다는 의지로 바껴 수요일에 애매하게 해결된 QnA를 시간을 할애하여 끝까지 찾아와 알려줬다는 점이 잘한 것 같다. 매번 느끼지만 메타인지를 부정적으로 하여 나에게 채찍하는 것은 좋지만 결론만은 긍정적으로 생각하여 남에게도 에너지를 뺏는것이 아닌 에너지를 줄 수 있는 사람으로 인식되고 싶다.

세 줄 요약

  • P지만 어느정도 J의 성향을 따라가보자!
  • 정해진 커리큘럼 외 공부해야하는 부분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끝까지 트래킹하자!
  • 미루지말고 그때 그때 해결하자!

+ Recent posts